[보고]/책 / / 2023. 9. 29. 10:18

[COMPASS] 모드 르안 - 파리의 심리학 카페

300x250

 

 

자존감에는 자신을 존중하는 일도 포함됩니다.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고, 무례한 태도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자신을 고통스러운 관계속에 내버려두지 않으며,
원하는 것을 주장하고, 상처받지 않을 권리가 있음을 밝히는 것도 자존감입니다.

 

>> 타인이 나쁜 사람이라 나를 만만하게 봐서 나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 동안 충분히 '그럴만한' (그럴만한 = 다소 무리한 부탁들 하더라도 언제나 '예스'라고 대답하는, 어쩌면 무거운 책임감과 업무를 보람으로 느끼는) 사람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면 '저 사람은 도대체 왜 저러나' 하면서 타인을 욕하기 바빴지만, 결국 이 모든 것들은 내가 자초하고, 내가 벌린 일이다. 나는 존중하지 못한 결과로.

 

반응형

 

 

지난 시절, 저도 힘들고 어려운 일을 자처하고, 누군가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작은 실수에도 지나치리만큼 미안해하곤 했습니다.
스스로를 누구에게도 환대받지 못할 부담스러운 존재나 쓸모없는 짐짜거럼 취급했던 것이지요.

 

>> 어린시절, 학급에 필요한 물품을 구비해야 하는 일이 생기면 손을 들고 '내가 하겠다'고 외쳤다. 나의 '가치'보다는 '쓸모' 로 인정받길 원했던 미숙한 시절이었으니까.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힘들고 궂은 일은 내가 도맡아서 했다. 그게 그 당시에는 책임감인줄 알았는데, 물론 책임감도 어느정도 포함이 되었겠지만 '나는 이런 궂은 일을 하기에 마땅한 사람'이라는 자기 인식이 내면 깊숙히 뿌리박혀 있었던 것이다. 이런 것까지 해야 내가 인정받을 수 있다는 마음.

 

 

그러나 지나치게 자신의 권리를 무시하는 것은 겸손도 미덕도 아닙니다. 쓸데없이 미안해하는 것도 결국 나를 아끼지 않은 내 탓일 뿐입니다. 나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 자신입니다.

 

>> 나는 이런 경우를 자주 겼는다. 좋은 식사 자리를 마련하고 싶어서 역과 좀 동떨어진 식당을 예약한다. 일행은 목적지까지 걸으며 '멀다' '머네'를 연발한다. 그럼 나는 미안해한다. "제가 좀 가까운 장소를 고를걸. 죄송해요." 돌이켜 생각하면 다 말도 안 된다. 나는 이렇게 나를 지켜내지 못했음을 깨닫게 된다.

 

결국 이런 내가, 그 동안 어디서도 나를 떳떳하게 드러낼 수 없었던 것은 필연과도 같은 일이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